프로토콜(protocol)과 인터페이스(interface)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?
uart rs232/ uart rs422 / HDLC rs422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??
프로토콜(protocol)
정의 및 기능
- 두 개 이상의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 약속!
- 하드웨어 장치가 서로 통신할 때, 데이터 전송 방법, 타이밍, 에러 처리 방식 등을 명시하여 서로 다른 하드웨어나 시스템이 올바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약속
- 대표: Uart / HDLC
인터페이스(interface)
정의 및 기능
- 두 시스템이나 구성 요소 간의 연결 지점 또는 접점으로,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마련된 물리적/논리적 연결 방식을 의미
-대표:rs232/rs422/rs485

ex)예시를 들어서 설명
- DATA 를 사과 / Protocol를 포장 박스 / Interface를 물건을 운반하는 이동수단
사과를 여러가지 박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포장할 수 있다. 하지만 각 포장 박스마다 포장하는 방법은 다르다.
(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보낼지, 2비트 씩 10번 보낼지 , 1초마다 보낼지)
포장된 박스를 비행기로 태워 보낼지 배를 태워 보낼지 이동수단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사과를 보낸다.
(rs 232(Single-ended) 외부의 영향에 취약하다. 설계가 쉬움 / rs422(Differenctial) 외부의 영향에 강하다 설계가 어려움)
즉 DATA를 어떤 Protocol ( uart/ HDLC 등등) 으로 보낼지 상대방과 약속하고 어떤 Interface( rs232/ rs422/ rs485 등등) 물리적으로 보낼지 지정해야 된다.
Protocol과 interface가 같이 모두 정의하는 통신 방식( 주의! )
- USB (Universal Serial Bus)
- Ethernet
- I2C (Inter-Integrated Circuit)
- SPI (Serial Peripheral Interface)
- CAN (Controller Area Network)
- HDMI (High-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)
- PCIe (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)/ Bluetooth
*** 로직 패밀리 (Logic Family) 헷갈리수 있음!!
- 디지털 회로가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기술적 구현.
- 신호의 처리를 위해 트랜지스터, 게이트 등을 통해 디지털 0과 1의 상태를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.
- 회로에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와 소자의 구성 방식에 따라 전압 레벨, 전력 소모, 속도 특성이 달라짐.
- TTL, CMOS, ECL, RTL, DTL, NMOS, PMOS, BiCMOS
마무리
- protocol 과 interface를 명확히 분리하여 생각하고 설계를 해야 된다. 단일품이 아니라 시스템의 일부를 설계할 때 체결되는 상대물의 정확한 정보를 알아야 설계 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.
'전기전자 찌릿 > 전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전자 ] 오실로스코프 아날로그 신호 측정하는 방법 (0) | 2024.12.29 |
---|---|
[ 전자 / FPGA ] BIN (Binary) / MCS (Memory Configuration Storage) 차이 (0) | 2024.12.22 |
[ 전자 / Power ] DC/DC 와 LDO 란 (0) | 2024.11.03 |
[ 전자 / DCDC Power Modules ] DCDC 컨버터 선정하는 방법 (3) (0) | 2024.11.01 |
[ 전자 / DCDC Power Modules ] DCDC 컨버터 선정하는 방법 (2) (3) | 2024.10.09 |